스마트폰 오래봐서 90도 목 꺾인 사람

하루에도 몇 시간씩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한 탓에 ‘머리떨굼 증후군’ 진단을 받은 20대 일본 남성의 충격적인 엑스레이가 공개됐다.
14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스마트폰으로 장시간 게임을 하면 무서운 ‘머리떨굼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라며 일본 의료진이 공개한 25세 남성의 사례를 보도했다.
6개월 동안 목에 심각한 통증을 겪은 이 남성은 스스로 머리를 들어 올릴 수 없는 상태에 이르러 결국 병원을 찾았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삼키기도 어려워 식사량이 줄었고, 그 결과 체중 역시 걱정스러울 정도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남성을 담당한 의료진은 활동적인 성격이었던 그가 10대 초반에 심각한 괴롭힘을 당한 뒤 학교를 그만 두고 몇 년 동안 방 안에 틀어박혀 지내면서 문제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 남성은 매일 몇 시간씩이나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했고, 이러한 생활 습관이 그의 척추뼈에 악영향을 끼친 것이다.
결국 이 남성은 목뼈가 왜곡되고 탈구되었으며, 척추 부위에 흉터 같은 조직까지 증식한 상황에 처했다. 이에 의료진은 목을 고정하는 의료 기기를 이용해 교정을 시도했으나 남성이 감각 이상을 호소하면서 결국 수술을 선택하게 됐다.
의료진은 척추뼈에 생긴 흉터 같은 조직 중 일부를 제거하고, 목뼈에 나사와 금속 막대 등을 삽입해 자세를 교정했다. 수술 후 6개월 만에 이 남성은 머리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됐으며 1년 뒤 추적 검사에서도 머리떨굼 증후군 증상이 재발하지 않았음이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 남성의 사례를 두고 스마트폰을 보면서 장시간 불편한 자세를 유지한 습관뿐 아니라 ‘근본적인 발달 장애’가 결합돼 촉발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과도한 사용이 위험하다는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